본문 바로가기

국내주식 | 해외주식/Fear & Greed Index

[미국주식] 피어앤그리드 지수 (Fear&Greed Index) 의미는? (7개 indicator 알아보기)

반응형

 

 

미국주식의 피어앤그리드 

피어앤그리드는 미국주식을 하는 분이라면 익히 알고 있을텐데요.
미국 CNN 에서 만든 마켓의 emotion을 정량화 한 지표입니다. 
7가지 Indicator로 이루어져있고 이 Indicator들을 종합하여 시장상황의 감정을 정량화한 인덱스라 보시면되겠습니다. 
 
 

7가지 Indicator들의 의미 

기본적으로 피어앤그리드는 S&P500지수 및 NYSE 주식을 기반으로 한 인덱스입니다.
 
1) Market momentum (시장 추세) 
주식 시장의 긍정/부정적 추세를 읽는 지표입니다. 
S&P500 지수가 125일 이동평균보다 높다면 긍정적인 추세이며, 낮다면 부정적인 추세가 됩니다. 
따라서, 아래로 내려가는 추세는 공포를 나타내고 위로 올라가는 추세는 탐욕을 나타냅니다.

최근 Market momentum

위의 그래프를 보면, 현재의 S&P 500 지수가 125일 이동평균보다 약간 위에 있는 상승추세에 있는것을 볼 수 있습니다. 
시장지표로는 Neutral이라고 해석되었네요. 
 
2) STOCK PRICE STRENTH (주가 강도) 
NYSE (뉴욕증권거래소)*에서 거래되는 주식중 52주 최저가 & 최고가 주식수를 비교한 지표입니다.
52주 최저가 주식수가 (the number of stocks) 최고가 주식수보다 많다면 공포이며,
52주 최저가 주식수가 최고가 주식수보다 적다면 탐욕을 나타냅니다. 
*NYSE(뉴욕증권거래소); 미국주식 거래시장 중 하나이며, 그외에는 나스닥(NASDAQ), 아멕스(AMEX)가 있음
 

최근 Stock price strength

위의 그래프를 보면 신저가 주식수가 신고가 주식수보다 훨씬 많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는 곧 공포를 나타냅니다.
한가지 특이한점이있다면, 몇 개월 빼고는 지수가 0%이하인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상당한 베어마켓임은 분명하군요.
 
3) STOCK PRICE BREADTH (주가폭) 
투자자들이 매수/매도를 얼마나 강하게 하는지 알려주는 지표로써, 하락하는 NYSE 주식수와 상승하는 NYSE 주식의 주식량 또는 거래량을 비교한 지표입니다. 
낮아지는 추세는 공포를, 높아지는 추세는 탐욕을 나타냅니다. 
 

최근 STOCK PRICE BREADTH

 위의 그래프를 보면 작년 10월 이후로 최저 주가폭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매우 공포스러운 시장상황이네요..
 
 
4) PUT AND CALL OPTIONS (풋앤콜 옵션)
옵션 계약중에서 매수옵션(콜옵션) 중 매도옵션(풋옵션)의 비교 지수입니다.
풋옵션이 증가할 수록 index값이 높아지기 떄문에, 1이상일 때는 투심이 매우 불안한 상태라고 해석될 수 있습니다. 
 

최근 PUT AND CALL OPTIONS

위의 그래프를 보면 지수는 1이하이므로 탐욕의 상태라 해석이 되지만, 그래프 추세를 보면 상승 양상인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조만간 투심이 불안한 상태인 공포의 양상을 보일 확률이 높겠습니다. 
 
5) MARKET VOLATILITY (시장변동성)
CBOE 변동성 Index입니다. 보통 VIX라 불리는데, 향후 30일 이후의 S&P 500 인덱스 가격 변동성을 나타냅니다. 
VIX지수가 낮으면 상승추세를, VIX 지수가 높으면 하락추세를 나타냅니다.

최근 MARKET VOLATILITY

 위의 그래프를 보면 50일 이동평균선 대비 VIX지수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네요. 
 
6) SAFE HAVEN DEMAND (안전자산수요)
주식은 채권보다 위험합니다. 그러나 수익률은 좋을 수 있죠.
그러나 짧은기간 내에 채권으로 주식보다 좋은 성과를 낼 수 도 있습니다.
안전자산 수요 인덱스는 20일 거래일동안 국채와 주식수익률을 비교한 것입니다. 
채권의 수익률이 높다면 이는 곧 투심의 공포를 말합니다. 

최근 SAFE HAVEN DEMAND

최근 그래프를 보면 채권수익률이 주식수익률보다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근래들어 채권 수익률이 Outperforming하고 있네요.
 
7) JUNK BOND DEMAND (정크본드 수요)
정크본드는 안전 채권보다 위험성이 큽니다.
위험이 높은 시장상황에서는 안전채권을 투자자들이 선호하기 때문에 그만큼 정크본드의 금리를 높일 수 밖에 없습니다.
정크본드와 안전채권의 금리차이가 벌어질 수록 시장의 상황이 건강하지 않다는것을 반증합니다.  
 

최근 JUNK BOND DEMAND

위의 그래프에서 급락하는 부분은 배당락으로 인한 것이며, 이후 원래대로 다시 돌아옵니다. 
현재 정크본드와 안전채권의 금리차가 2.2%로 역대급으로 벌어진 상태라고 보여집니다.
정크본드 시장은 현재 살얼음판을 걷고있네요. 
 

피어앤그리드를 볼 수 있는 사이트

피어앤그리드는 실시간으로 제공하며, 미국주식장전에도 선물을 반영하여 실시간으로 변동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북마크하시고 매일 지켜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Fear and Greed Index - Investor Sentiment | CNN

Fear and Greed Index - Investor Sentiment | CNN

The market is made up of thousands of stocks. And on any given day, investors are actively buying and selling them. This measure looks at the amount, or volume, of shares on the NYSE that are rising compared to the number of shares that are falling. A low

www.cnn.com

 
피어앤그리드지수가 가끔 보이지 않을 때가 있습니다. (특히, 장이 요동칠때....................ㅎ) 
그때는 침착하게 상단의 Markets를 클릭하시면 요약된 화면으로 볼 수 있습니다. 

피어앤그리드 지수로 현명한 투자를 하시기를 바랍니다. 
 
다음글에서 만나요 
 

반응형